본문 바로가기

일상 정보 공유

빈대=bed bugs(빈대퇴치생활속방법, 생김새, 흡혈주기, 증상, 위치장소, 방역방법, 전문방역업체, 한국방역협회, 빈대살충제)

728x90

유럽여행을 계획할 때 인터넷 서치를 하다 보면 종종

베드버그 조심해야 한다 / 베드버그 약

....

관련 검색어를 접하곤 했는데요

이제,, 우리나라도 베드버그를 조심해야 하네요 ㅠ

저도 더 찾아보고 포스팅하게 되었습니다.


빈대 = Bed bugs

1번사진(출처 맨하단)

빈대는 흡혈곤충이에요.

사람과 동물이 자는 동안 피를 빨아먹는대요..

사람... 살려...ㅠ

2번 사진(출처 맨하단)

생김새는

상하로 납작하게 눌려있고 진한 갈색을 띠고 있어요.

성충의 경우 5~6mm 크기이고

3마디 주둥이와 4마디 촉각이 있대요

(수컷은 복부가 약간 뾰족, 암컷은 둥글하고요)

생김새로 종 or 수암컷 구분은 어려울 것 같고요 ㅠ

어차피.. 암수 모두 흡혈한대요 ;;

빈대에게 물리면 알레르기증상 또는

소양증/반구진성 흥반성 피부 병변 유발할 수 있음

(다행인 것은 감염성 질환은 없대요!)


어쨌든,, 보통 우리가 모기에 물리면

빨갛게 부어오르고 간지러운데,

몇몇 흡혈 벌레와 어떻게 구분하나 궁금하더라고요

(사실 저도 이게 너무 궁금해서 찾아보게 된 것이죠)

▼ 흡혈 부위 ▼

3번 사진 (출처 맨하단)

주요 흡혈 부위 : 팔, 다리, 발, 얼굴, 목 등

잠옷이나 담요로 덮지 않은 부위

빈대 물림과 관련된 가장 흔한 증상

: 소양증, 반구진성, 홍반성 피부병변

※ 흡혈 시 분비되는 타액으로 인한 아나필락시스를 포함한 심각한 알레르기 반응이 드물게 보고됨

▼ 증상 및 치료 ▼

"즉각적인" 반응은

물린 후 1~24시간 or 1~2일 간 지속되기도 하며

"지연된" 반응은

물린 후 1~3일(최대 14일 이상)에 나타나며

발적과 주기적 가려움증이 2~5일간 지속

보통은 일반적인 치료 없이도 1~2주 내 회복하며

가려움증과 2차 감염을 예방하기 위한 최소한의 대증적 치료를 진행하기도 한대요.

치료가 필요하다면

"가정의학과" "피부과" "감염내과"

▼ 흡혈 주기 ▼

보통 일주일에 1~2회 흡혈

& 10분간 몸무게의 2.5~6배 흡혈

※ 섭취한 혈액의 수분을 줄이기 위해서 빈대는 흡혈하면서 소화시키고 바로 배설함.

이러한 반 액체성분의 배설물이 가구나 침구에 특정한 흔적을 남기고, 특유의 냄새를 유발

(이것이 빈대 오염 여부 점검지표)

※피를 먹지 않고도 몇 달간 살 수도 있음


지구에는 총 75종의 빈대가 존재하며

 

4번 사진 출처 맨하단

일반적으로 인간 흡혈에 연루된 종의 빈대는

빈대[Cimex lectularius)와 반날개빈대(Cimex hemipterus)가 있대요..

5번 사진 출처 맨하단

빈대는 하루에 1~10개 알 낳고 일생동안 200~500개 알 낳는다고 해요.

반날개빈대는 일생동안 50개의 알을 낳고요!

 

빈대는 번데기 과정 없고, 불완전 변태로

알 → 약충성충

알 부화는 평균 9~10일이며

낮은 온도에서는 몇 주 소요될 수 있대요

27도씨의 경우 5~7일로 굉장히 빠른 부화가 가능..

(※ 약충일 때도 흡혈한대요..)

6번 사진 출처 맨하단

수명 또한 온도에 영향을 많이 받아서,

18~20도씨 9~18개월 생존

27도씨 15주 생존

34도씨 10주 생존


따라서 빈대 물림 의심이 있을 경우

침대 매트리스 / 프레임 / 협탁 /커튼 등

약충/ 성충 / 알/흔적을 확인해야 한다고 합니다.

상세 장소와 준비과정은 아래에서 다시 말씀드릴게요

Q: 만약 낮에 빈대를 발견했다면,,,?

A: 빈대가 매우 매우 많다!!!

보통 야간에 활동(=흡혈)(특히 새벽 3~4시 선호..)

낮에는 가구/침대/벽의 틈/ 벽지 틈 등 숨어 있대요

7번사진(출처맨하단)

빈대피해 5단계 확인

1단계 : 침대 한 곳에서만 확인됨 (침대 스프링, 프레임, 매트리스 시접부위, 침대헤드 등)

2단계 : 침대 주변으로 확산됨 (침대 근처 테이 블이나 서랍장)

3단계 : 벽과 바닥이 맞닿는 곳과 카페트 아래에서도 발견됨

4단계 : 벽의 갈라진 틈, 콘센트 내부에도 확인됨

5단계 : 벽과 천장, 커튼레일 사이에서 발견됨

※ 여러 곳에서 발견될수록, 침대와 먼 곳에서 발견될수록 심각한 단계임

※ 조사 시 아래 준비물로 진행 & 조사 몸쪽으로 튈 수 있는 점 주의

위 5단계 조사시 준비물

개인 보호복(방역복)

밝은 손전등

돋보기

길고 얇은 프로브

틈새 도구가 있는 헤파필터 진공청소기

라텍스/고무장갑

종이타월

셀로판테이프

8번사진 출처(맨하단)

 

5단계 조사 장소

균열이 있거나 갈라진 틈

매트리스

매트리스 시접부위

침대 프레임

침대 주변

문틈/마루틈

카펫주름

걸레받이

콘센트

가구

사진틀

벽걸이 물품/벽지

벽늠/천정마감 틀 등

조사 시 확인 대상

살이 있는 빈대

죽은 빈대

알껍질

탈피 흔적

배설물/분변

[추정위험요인]

오염된 지역(주택, 교통수단, 유흥장소, 숙박시설)

또는 방문자의 오염된 물건

※ 오염된 지역에서 이동하는 개인의 수하물, 배낭, 여행용 가방, 옷, 중고가구 등

[위험추정장소]

빈대 출현 지역에서 입국한

내국인/외국인이 사용하는 거주지,

숙박업소 및 집단시설,

고시원, 유흥시설, 다중이용시설 등

※ 호텔, 여관, 여인숙, 게스트하우스(숙박 공유 플랫폼으로 예약 및 운영되는 숙박업소 포함),

이민자 및 외국인 유학생‧근로자 숙소, 찜질방, 유흥시설, 오염된 지역에서 거주 후 귀국하는

시민의 거주지 등

[빈대 조사와 방제 방법]

빈대를 효과적으로 방제하기 위해서는 예방, 청결 및 위생 그리고 중요지점에 대한 살충 등을 포함하는 종합적 방제법[integrated pest management(IPM)]을 적용하고, 빈대 발생이 극심하여 방제가 어려울 경우에는 방제전문기관에 의뢰해야 함.해야함.

또한 빈대는 국내외 어디라도 이동할 수 있기 때문에 호텔, 아파트, 집단시설 등에서는 시설 내 빈대를 지속적으로 조사 및 감시하는 것이 필요함.

빈대 제거를 위한 생활 속 실천사항

 

침대 주변 정리

실내공간 간단한 보수

실내 표면/가구표면 모두 비누와 물로 세척

진공청소기로 침대/소파/가구 등 알/약충/성충 포집 후 필터 내 살충제 분사하여 밀봉 폐기

습식/건식 스팀청소기로 가구 틈 벽틈 고열 분사

의류/커튼/침대커버 등 고온처리

세탁 후 50~60도씨 건조기에 30분 이상 건조

해외에서 직배송된 상품과 포장 박스 빨리 버리기

해외 여행자의 옷과 용품에 빈대흔적 확인하기

수입용 중고가구나 침구 빈대흔적 확인하기

집 깨끗이 청소하기

빈대살충제

반드시 전문가 상담 후 방제 or

방역전문기관에 의뢰하여 실시하기

+ 사용법에 따라 보호장갑/안전고글/마스크 등 착용 후 사용해야 함

빈대 발생 시 한국방역협회를 통해 전문방역업체를 안내받으실 수 있습니다.

- 한국방역협회: https://ikpca.co.kr, 02-467-7630

실시간 한국 내 빈대 현황 보기

빈대보드

빈대보드(빈대 실시간 현황)에 대해 만들어주신 개발자님 정말 감사합니다💞

↓빈대보드 바로가기 ↓

https://bedbugboard.com/

 

빈대보드 :: 빈대 실시간 현황판

빈대맵과 빈대에 관한 대한민국의 지역 별 현황 및 뉴스 등을 실시간으로 빠르게 제공합니다.

bedbugboard.com

 

※ 이 글의 모든 내용 및 사진은 2023년도 서울시 빈대 예방 및 관리 안내서의 내용을 기반으로 작성되었습니다. ※

728x90